"왜 비누를 파는 것처럼 인류애를 팔 수는 없을까?" “Why can’t you sell brotherhood like you can sell soap?”
연구심리학자인 위브(Gerhard Weibe) 박사가 1951 년에 제시한 이 질문으로 '소셜 마케팅(Social marketing)'이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흔히 마케팅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물건을 사도록 영향을 미치고 그 이익은 판매자에게 돌아갑니다. 그런데 그는 영리적인 마케팅 방식을 비영리단체가 사회적으로 책임감있게 사용함으로써 자신과 공동체의 이익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사회 변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희도 고민이었거든요, 비영리단체에서 평균 18년 동안 활동하면서 가졌던 고민 중 하나가 바쁘고 불안한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하면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 끈을 놓지 않도록 만들것인가였으니까요.
네!!, 그래서 인류애를 진짜 비누로 만들어 팔아보기로 했습니다.
일상에 치이는 이들에게 찾아와 달라고 요청하기보다. 누구나 매일 하고 항상 쓰는 것에 자연스럽게 끼어들기로 했습니다. 생활의 필요와 생활 속 사회문제를 비누와 같은 소비재에 담은 [생활소비재매거진]이 그것입니다. '생활'용품을 다 쓸 때까지 자연스럽게 사회문제를 떠올리도록 하고, 쓰다 보면 언젠가 사라지는 '소비재'처럼 사회문제도 관심을 가지다 보면 사라진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우리가 비누를 선택한 이유.
비누를 쓰지 않는 사람은 드뭅니다. 하루에 비누를 사용해 손을 씻는 횟수, 성인 6.6회, 아동/청소년 5.2회로 저마다의 손에 묻은 하루의 묵은 감정을 씻어주는 삶의 작은 위로이자 가난한 이들에게도 허락된 가장 저렴한 위생 도구가 비누입니다.
우리는 비누에 물 부족과 같은 사회문제를 담았습니다.
사회문제는 블록 모양과 색상 조합으로 제조된 비누를 통해 인덱스로 표현됩니다. 이를 해결할 간단한 행동을 제안하고, 수익금을 관련 활동을 하는 단체에 지원합니다. 비누는 깐깐하기로 소문한 한살림 생협에 10년 넘게 비누를 공급하는 천향과의 파트너쉽으로 안전하게 제조된 저온 숙성 비누입니다.
천향은 해당 기업이 자리잡은 지역단체를 지원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입니다. 비누패키지는 그 자체가 잡지입니다. 포장박스이자 완충재입니다. 인쇄를 최소화하여 환경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자꾸 보면 행동하게 됩니다.
3 회 이상 특정 정보에 대한 반복 노출 시 그것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고 합니다. 매일 비누로 손을 씻으며 사회문제 정보를 접하고 인식은 그대로 제안하는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오늘의행동이 비누를 파는 이유입니다.
매일 비누를 읽고 더 나은 행동을 하면서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돕는 생활소비재매거진입니다.
"왜 비누를 파는 것처럼 인류애를 팔 수는 없을까?"
“Why can’t you sell brotherhood like you can sell soap?”
연구심리학자인 위브(Gerhard Weibe) 박사가 1951 년에 제시한 이 질문으로 '소셜 마케팅(Social marketing)'이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흔히 마케팅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물건을 사도록 영향을 미치고 그 이익은 판매자에게 돌아갑니다. 그런데 그는 영리적인 마케팅 방식을 비영리단체가 사회적으로 책임감있게 사용함으로써 자신과 공동체의 이익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사회 변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희도 고민이었거든요, 비영리단체에서 평균 18년 동안 활동하면서 가졌던 고민 중 하나가 바쁘고 불안한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하면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 끈을 놓지 않도록 만들것인가였으니까요.
네!!, 그래서 인류애를 진짜 비누로 만들어 팔아보기로 했습니다.
일상에 치이는 이들에게 찾아와 달라고 요청하기보다. 누구나 매일 하고 항상 쓰는 것에 자연스럽게 끼어들기로 했습니다.
생활의 필요와 생활 속 사회문제를 비누와 같은 소비재에 담은 [생활소비재매거진]이 그것입니다. '생활'용품을 다 쓸 때까지 자연스럽게 사회문제를 떠올리도록 하고, 쓰다 보면 언젠가 사라지는 '소비재'처럼 사회문제도 관심을 가지다 보면 사라진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우리가 비누를 선택한 이유.
비누를 쓰지 않는 사람은 드뭅니다. 하루에 비누를 사용해 손을 씻는 횟수, 성인 6.6회, 아동/청소년 5.2회로 저마다의 손에 묻은 하루의 묵은 감정을 씻어주는 삶의 작은 위로이자 가난한 이들에게도 허락된 가장 저렴한 위생 도구가 비누입니다.
우리는 비누에 물 부족과 같은 사회문제를 담았습니다.
사회문제는 블록 모양과 색상 조합으로 제조된 비누를 통해 인덱스로 표현됩니다.
이를 해결할 간단한 행동을 제안하고, 수익금을 관련 활동을 하는 단체에 지원합니다.
비누는 깐깐하기로 소문한 한살림 생협에 10년 넘게 비누를 공급하는 천향과의 파트너쉽으로 안전하게 제조된 저온 숙성 비누입니다.
천향은 해당 기업이 자리잡은 지역단체를 지원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입니다.
비누패키지는 그 자체가 잡지입니다. 포장박스이자 완충재입니다. 인쇄를 최소화하여 환경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자꾸 보면 행동하게 됩니다.
3 회 이상 특정 정보에 대한 반복 노출 시 그것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고 합니다. 매일 비누로 손을 씻으며 사회문제 정보를 접하고 인식은 그대로 제안하는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오늘의행동이 비누를 파는 이유입니다.
매일 비누를 읽고 더 나은 행동을 하면서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돕는 생활소비재매거진입니다.
[생활소비재매거진] 구매하러가기